6.3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가 “장관은 보수·진보 가리지 않고 일 잘하는 분을 모시겠다”라고 밝히며, 한국 정치의 고질적인 문제인 극단적 이념 대립을 넘어서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보수 논객 정규재 전 주필과의 만남에서 이재명 후보는 “여기서 더 분열하면 안 된다”, “친일파 문제, 과거사 문제도 모두 덮을 생각이다”라고 발언하며 통합형 리더십의 방향을 드러냈습니다.
이는 단순한 선거용 메시지가 아니라, 현재 한국 정치가 안고 있는 깊은 병폐에 대한 진단으로도 읽힙니다.
오늘은 이재명의 "이념보다 실용 발언"과 국민 통합을 주제로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이재명 “이념보다 실용” 발언과 국민통합을 위한 해법
한국 사회, 왜 이렇게 이념 갈등이 심해졌을까?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한국 정치는 보수와 진보의 뿌리 깊은 대결 구도로 고착화되었습니다.
정권 교체마다 전임 정부의 정책은 전면 폐기되고, 검찰 수사와 정치 보복이 반복되며 정쟁이 일상화된 정치 환경이 형성된 것입니다.
이로 인해 국민은 정치 혐오에 빠지고, 공공정책은 좌우 진영 논리에 갇혀 실행력마저 떨어지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실용 내각” 구상의 의미는?
이재명 후보는 보수·진보라는 이념 구분을 뛰어넘어, 실력과 책임감을 기준으로 인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제 생각에 경제부총리로 유승민 같은 합리적 보수 인사를 기용할 수 있다는 접근과 맥을 같이합니다.
유승민은 경제 전문가로서 시장 이해도와 정책 실행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으며, 보수층과 중도층 모두에게 신뢰를 얻고 있는 인물입니다. 이런 인물을 국정 운영에 참여시키는 것은 진영을 넘어선 국민통합의 상징이 될 수 있습니다.
“대통령이 되면 이념 문제는 아예 안 다루겠다. 먹고살기 바쁜 국민에게 이념 논쟁은 사치다.” – 이재명 후보 발언 중
국민통합을 위한 실질적 해법은 무엇일까?
1. 실용주의형 인사 기용
- 보수·진보 출신 불문하고, 능력 중심의 인사 구조
- 정책 중심 전문가 발탁 → 사회적 신뢰 회복
- 예시: 경제부총리 유승민, 보건복지 장관에 진보 성향 전문가 등
2. 통합형 내각 및 자문 시스템 도입
-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구성
- 여야 공동 정책기획단 → 민생 중심 법안 공동 입안
- 정책 실패의 원인을 ‘정쟁’이 아닌 ‘협치 부족’에서 찾는 접근
3. 상시적 공론장과 갈등 중재 기구
- 이념·세대·젠더 갈등 중재 가능한 ‘사회통합 플랫폼’ 구축
- 대통령 주재 타운홀 미팅 제도화
- 시민 참여형 정책토론 프로그램 정례화
4. 정치 문화 개혁
- 정치보복 금지 원칙 제도화
- 정당 내 중도·실용 계파 공천 확대 유도
- 정치인의 책임 있는 사과 문화 정착 (정쟁 탈피 선언)
통합의 리더십이 필요한 때
국민의 삶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지만, 정치권은 여전히 ‘내가 하면 개혁, 남이 하면 적폐’라는 진영 논리에 빠져 있습니다. 이제는 국민이 바라는 리더십의 본질이 바뀌어야 할 때입니다.
강한 카리스마보다 중요한 건 ‘듣는 능력’이고, 진영을 앞세우는 것이 아닌 ‘국민 전체를 향한 시선’입니다.
이재명 후보의 발언은 그 방향으로 가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정치의 본령은 국민의 삶을 바꾸는 것이지, 정당 간 전쟁을 벌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맺음말: 이념보다 실용, 분열보다 통합
이재명 후보가 언급한 실용 내각, 보수 인사 기용은 단순한 이미지 전략이 아닌, 정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통합의 시그널입니다.
국민도 이제 이념보다 ‘일하는 정치’를 원하고 있으며, 시대정신은 분명히 ‘갈등을 넘어 상생’입니다.
정치는 국민의 삶을 다루는 실용의 영역입니다.
이제 우리 모두가 “이념의 안경을 벗고, 실용의 시야로 미래를 보는 정치”를 선택해야 할 때입니다.
'국내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선후보 '진짜 대한민국' (0) | 2025.04.28 |
---|---|
문재인 뇌물혐의 기소와 검찰개혁 (3) | 2025.04.25 |
이재명 압승 – 대세론을 넘어 ‘대망론’으로 (1) | 2025.04.21 |
4.19 혁명일에 다시 쓰는 4.4 윤석열 파면 주문 (1) | 2025.04.19 |
차기 대통령의 조건: 통합과 도약의 새로운 대한민국 선도 (1)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