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국 정치53

시진핑의 열병식 정치학: 무기 쇼인가, 권력 쇼인가? 2025년 9월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은 다시 한번 세계 언론의 카메라 플래시 세례를 받습니다.중국의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열병식 때문이죠. 이번 행사는 단순한 군사 퍼레이드가 아닙니다.첨단 무기 과시를 넘어, 시진핑 권좌의 정치학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무대이기 때문입니다. 1. 톈안먼 성루 위의 시진핑: 권력 집중의 상징열병식의 핵심 연출은 단연 시진핑 주석의 성루 연설입니다.과거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가 그랬듯, 국가적 기념식에서 최고지도자가 군사력을 직접 지휘하는 모습은 "당과 국가, 그리고 군 모두를 내가 장악했다"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게다가 이번엔 김정은과 푸틴까지 초대해 나란히 자리하게 했습니다.이는 중국이 반(反)서방 진영의 .. 2025. 9. 1.
중국 내 반공 시위가 확산되는 배경과 의미 최근 중국 충칭(重慶)의 대학타운 한복판에서 벌어진 ‘반공(反共) 투영 시위’는 단순한 해프닝이 아닙니다.건물 외벽에 “공산당 폭정 타도”, “붉은 파시즘 전복”과 같은 구호가 50분 넘게 투영된 사건은, 중국 사회 깊은 곳에서 여전히 끓어오르고 있는 민심의 불만을 보여주는 단적인 장면입니다. 이번 사건은 2022년 베이징 사통교 사건, 2022년 말 전국으로 번졌던 ‘백지 시위’, 그리고 이후 각 지역에서 간헐적으로 이어진 반체제 행동과 맥락을 같이합니다. 오늘은 중국 내에서 반공 시위가 확산되고 있는 배경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충칭 대학타운 투영 사건의 의미충칭 대학타운은 14개 대학과 대형 쇼핑몰이 모여 있는 핵심 상업·문화 구역으로, 학생과 젊은 층이 대거 모여드는 곳입니다. 그곳에서.. 2025. 8. 31.
시진핑 건강 이상설과 권력 위기: 티베트 방문부터 삼중 압박까지 중국의 최고 지도자 시진핑(習近平)을 둘러싼 정치적 파장이 거세지고 있습니다.최근 들어 그의 건강 이상설이 재점화되는 동시에, 중국 정국 내부에서는 권력 투쟁과 정치적 압박이 복합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베트 방문에서 드러난 건강 이상설, 베이다이허 회의 이후의 잠행과 리창의 부각, 외교·금융·가문을 겨냥한 삼중 압박 사건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며 중국 권력 핵심부의 현주소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티베트 방문에서 드러난 건강 논란2025년 8월, 시진핑은 티베트 자치구 설립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4년 만에 라싸를 찾았습니다.그러나 그 장면에서 가장 주목받은 것은 정치적 메시지가 아니라 그의 외모와 걸음걸이였습니다. 얼굴이 심하게 붓고 눈꺼.. 2025. 8. 28.
중국 민심 이반, 어디까지 왔나? – 허베이 '반공산당' 표어에서 읽는 변화의 조짐 최근 중국 허베이성 랑팡의 한 거리 전봇대에서 발견된 대형 표어가 중국 안팎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중공(중국 공산당)은 중국이 아니다”라는 이 문구는 단순한 낙서가 아닙니다. 이는 오랜 세월 국가와 집권당을 동일시해 온 중국 정치 구조에 대한 공개적인 도전이며, 민심의 균열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오늘은 이 사건으로 읽는 중국의 민심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표어 속에 담긴 두 개의 정체성표어에는 이렇게 덧붙여져 있었습니다.“중공은 마르크스-레닌의 후예이고, 중국 인민은 염황의 자손이다.” 여기서 ‘염황의 자손’은 수천 년 전 중국 문명의 시조로 꼽히는 염제(炎帝)와 황제(黃帝)의 후손임을 뜻합니다.전통 중국 문명과 역사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표현이죠. 반면 ‘마르크스-레.. 2025. 8. 15.
소림사 주지 스융신 체포…그가 지키던 건 불교인가, 권력인가? ‘승복 입은 CEO’, ‘정치 스님’, ‘불교계 재벌’.모두 스융신(釋永信)을 설명하는 별명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그 앞에 ‘구속된’이라는 수식어가 붙습니다.38년간 중국 불교계를 쥐락펴락한 그가 결국 형사 범죄 혐의로 낙마했습니다.왜 지금 체포되었고, 그가 상징하던 것은 무엇이었을까요?그리고 이 사건이 중국 정치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이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1. 스융신, 누구인가?스융신은 1981년 소림사에서 출가해 1999년 정식 주지 자리에 올랐습니다.이후 약 40년 가까이 소림사를 불교 명소이자 수익 중심의 상업 브랜드로 탈바꿈시킨 장본인입니다.국내외 무술 공연, 호텔 사업, 입장권 수입, 브랜드 상품화 등 소림사 연간 수익은 수백억 원에 달했습니다. 그는 단지 승려가 아니었습니다.전국인민대표.. 2025. 7. 30.
허드슨연구소, ‘중국공산당 몰락 이후의 세계’ “중국공산당은 영원하지 않다.”미국의 대표적 보수 싱크탱크인 허드슨연구소(Hudson Institute)가 최근 내놓은 보고서와 워싱턴 토론회에서 던진 핵심 메시지다. 이들은 중국공산당(CCP)의 붕괴가 “갑작스럽고 급격하게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그 이후를 준비할 것을 강조했다.동 연구소에서 진행한 토론회와 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공산당 몰락 이후의 중국 재편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자. 토론회의 배경: 왜 지금 '포스트 중국공산당'인가?2025년 7월 16일, 워싱턴 허드슨연구소 본부에서 열린 토론회는 ‘공산주의 몰락 이후 중국을 위한 계획’이라는 도발적 제목을 달고 진행됐다. 마일스 위 전 국무장관 보좌관(중국센터장)은 “전체주의는 언제든 무너질 수 있다. 중국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2025. 7.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