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정치18

홍콩: 중국 반환 후 28년의 빛과 그림자 저는 젊은 시절 홍콩의 회사에 근무한 적이 있었고 그 후로도 사업차 홍콩을 1년에 2~3번은 다닌 것 같습니다.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식도 TV를 통해 본 기억이 아직도 또렷합니다. “일국양제(一國兩制)”, 즉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를 유지한다는 원칙 아래, 홍콩은 2047년까지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받을 것으로 약속되었습니다. 그로부터 어느덧 28년.홍콩은 어떤 길을 걸어왔고, 지금 어디에 서 있을까요?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서의 홍콩 반환 후의 빛과 그림자를 돌아보겠습니다.1. 정치: ‘일국양제’의 명암● 빛 – 자치의 약속과 국제적 위상반환 초기에는 고등법원, 경찰, 입법회 등 자체 시스템 유지언론 자유, 시위 권리,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 “중국 속의 자유 도시”아시아 금융 허.. 2025. 4. 2.
황태자 후춘화의 복귀 가능성은? 중국 공산당 내 시진핑의 위상에 대한 얘기가 최근 너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저 역시 거듭된 군 장성의 숙청과 대내외적 경제 실책, 외교 갈등 무엇보다 군 내부의 반 시진핑파에 의한 실각 가능성을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 리가 없습니다.가장 근접한 시나리오로는 중앙군사위 부주석 즉 군부 실세 1위인 장여유샤와 반시진핑파의 연합에 의한 실각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그럼 만에 하나 시진핑이 실각이던 퇴진이던 물러나게 된다면 다음 중국의 국가주석은 누가 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리커창이 살아있다면야 그가 차기 중국국가주석이 될 가능성이 높았겠지만 의문의 죽음을 당했으니 후계 구도가 궁금할 수밖에 없습니다. 전 국가주석 후진타오에 의해 후계자 지명을 받았지만 지금은 한직에서 조용.. 2025. 4. 1.
시진핑 군 통제권 상실 가능성 제기 최근 중국 시진핑의 군 통제권 상실 관련된 뉴스가 자주 나오고 있습니다.미국과 대만에서 나오는 얘기로는 이미 시진핑이 군 통제권을 상실했다는 얘기까지 나오며 실각이냐 명예로운 퇴진이냐까지 언급되고 있는 모양입니다. 미중 정상회담도 중국에서 열자고 하고, 중국과 EU 외교관계 수립 50주년 기념식 브뤼셀 정상회담 초청에도 시진핑주석이 거절하는 등, 중국을 비울 수 없는 그의 현 입장이 뭔가를 대변해 주고 있지 않나도 생각됩니다. 시진핑 집권 이후 군에 대한 대대적 숙청이 있어왔고 최근까지도 군 장성들이 제거 숙청되는 등 군부 내 불만이 있었던 게 사실입니다.  특이한 것은 최근에는 친 시진핑 또는 시진핑의 군 숙청에 깊게 관여한 장성들조차 없어지거나 체포구금되었다는 사실입니다. 뭔가 시진핑의 군 통제권 상.. 2025. 3. 30.
싼샤 댐 붕괴의 나비효과 중국의 싼샤(三峡) 댐 (三峡大坝, Three Gorges Dam)은 세계 최대의 수력 발전소이자,중국 중부 장강(양쯔강) 유역의 홍수 조절을 통제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그렇지만 그 규모와 설계로 인해, 붕괴 가능성과 재해 발생 시 파급력은 “핵폭탄급 재앙”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싼샤 댐이 붕괴될 경우,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 기후, 식량 공급망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은 싼샤 댐 붕괴가 초래할 나비효과를 분석해 보겠습니다.1. 싼샤댐 개요 및 붕괴 가능성 위치후베이성 이창시, 양쯔강 중류완공 시기2006년 (부분 운영은 2003년부터)길이/높이2.3km / 185m저수 용량약 400억 톤기능홍수조절, 전력 생산(수력), 수로 개선, 농업 용수 공급전력생산연간 10.. 2025. 3. 25.
대만 지도가 중국 국기로 덮일 가능성 중국의 현 상황이 엎친데 덮친 격이라 대만 침공을 통해 내부의 경제, 사회적 불만을 무마할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특히나 시진핑 주석의 입지가 점점 약해지는 요즘, 언제든 그 화살은 대만을 향해 날아갈 수 있는 상황입니다. 대만엔 제 지인도 많고 저 역시 1년에 2~3번씩은 출장이나 여행을 다닌 곳이라 늘 신경이 쓰입니다.과연 대만지도가 청천백일만지홍기가 아닌 중국 국기로 덮일 가능성이 어떤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중국-대만 전쟁의 가능성은 아시아는 물론, 우리의 외교·경제·안보 전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변수입니다. 중국이 대만을 침략할 시, 미국과 중국의 전략은 어떨지, 또 그 와중에 끼인 우리의 전략적 선택은 어떠해야 하는지 등 알아보겠습니다.1. 중국-대만 전쟁: 발발 가능성  1) 중국의 대만 전.. 2025. 3. 23.
발난, 반란에 의한 시진핑 정권 붕괴 가능성 중국 역사는 반란과 혁명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특히, 중국에서 왕조가 무너질 때마다 대규모 농민 반란이 발생했으며, 이는 체제 붕괴의 신호로 작용했습니다.현재 중국도 경제 불안, 부정부패, 빈부격차 확대, 정부 통제 강화 등의 문제를 겪고 있어, 역사적 사례와 비교할 때 반란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다만, 13년의 장기집권을 통해 이미 구축된 감시시스템하에서 농민공이나 일반 시민이 혁명을 일으키기는 중국의 사회구조상 어렵겠지만, 군부에 의한 발난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여집니다. 또는 지난번 백지혁명처럼 일반시민이 불을 지피고 여기에 반 시진핑 군부세력이 가세한다면 발난의 가능성은 높다고 보입니다.  "중국 역사 속 농민 반란과 현재 중국의 상황을 비교했을 때, 현대 중국에서 반란 또는.. 2025.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