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중국 반환 후 28년의 빛과 그림자
저는 젊은 시절 홍콩의 회사에 근무한 적이 있었고 그 후로도 사업차 홍콩을 1년에 2~3번은 다닌 것 같습니다.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식도 TV를 통해 본 기억이 아직도 또렷합니다. “일국양제(一國兩制)”, 즉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를 유지한다는 원칙 아래, 홍콩은 2047년까지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받을 것으로 약속되었습니다. 그로부터 어느덧 28년.홍콩은 어떤 길을 걸어왔고, 지금 어디에 서 있을까요?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서의 홍콩 반환 후의 빛과 그림자를 돌아보겠습니다.1. 정치: ‘일국양제’의 명암● 빛 – 자치의 약속과 국제적 위상반환 초기에는 고등법원, 경찰, 입법회 등 자체 시스템 유지언론 자유, 시위 권리,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 “중국 속의 자유 도시”아시아 금융 허..
2025. 4. 2.
싼샤 댐 붕괴의 나비효과
중국의 싼샤(三峡) 댐 (三峡大坝, Three Gorges Dam)은 세계 최대의 수력 발전소이자,중국 중부 장강(양쯔강) 유역의 홍수 조절을 통제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그렇지만 그 규모와 설계로 인해, 붕괴 가능성과 재해 발생 시 파급력은 “핵폭탄급 재앙”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싼샤 댐이 붕괴될 경우,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 기후, 식량 공급망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은 싼샤 댐 붕괴가 초래할 나비효과를 분석해 보겠습니다.1. 싼샤댐 개요 및 붕괴 가능성 위치후베이성 이창시, 양쯔강 중류완공 시기2006년 (부분 운영은 2003년부터)길이/높이2.3km / 185m저수 용량약 400억 톤기능홍수조절, 전력 생산(수력), 수로 개선, 농업 용수 공급전력생산연간 10..
2025. 3. 25.
발난, 반란에 의한 시진핑 정권 붕괴 가능성
중국 역사는 반란과 혁명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특히, 중국에서 왕조가 무너질 때마다 대규모 농민 반란이 발생했으며, 이는 체제 붕괴의 신호로 작용했습니다.현재 중국도 경제 불안, 부정부패, 빈부격차 확대, 정부 통제 강화 등의 문제를 겪고 있어, 역사적 사례와 비교할 때 반란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다만, 13년의 장기집권을 통해 이미 구축된 감시시스템하에서 농민공이나 일반 시민이 혁명을 일으키기는 중국의 사회구조상 어렵겠지만, 군부에 의한 발난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여집니다. 또는 지난번 백지혁명처럼 일반시민이 불을 지피고 여기에 반 시진핑 군부세력이 가세한다면 발난의 가능성은 높다고 보입니다. "중국 역사 속 농민 반란과 현재 중국의 상황을 비교했을 때, 현대 중국에서 반란 또는..
2025.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