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대중국 상호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이 일부 희토류 수출 통제를 시작하자 미국의 군수 첨단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13일 (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중국에서 전량 정제되는 중희토류 금속 6종과 전체 생산량 중 90%가 중국에서 나오는 희토류 자석의 수출을 제한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금속과 자석은 특별 수출 허가를 받아야만 중국 외 지역으로 반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 민간 항공사인 지샹항공은 미중 관세 전쟁의 고조에 따라 보잉 항공기 인수를 보류했습니다.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의 일환으로 희토류 수출 제한과 보잉 항공기 인수 보류 등 미국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와 보잉 인수 보류, 미국 산업계에 미치는 충격
미·중 무역전쟁이 단순한 관세 경쟁을 넘어 핵심 산업의 공급망 전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한과 보잉 항공기 인수 보류에 나서면서, 미국 산업계는 강한 긴장 상태에 빠졌습니다.
희토류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반도체, 항공우주, 군사 장비 등 거의 모든 첨단 기술 제품에 들어가는 필수 소재입니다.
특히 드론, 레이더, 미사일 유도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중희토류 금속과 희토류 자석은 국방 산업에 필수적입니다.
문제는 이들 희토류의 90%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되거나 정제된다는 점입니다.
즉, 중국이 이를 조절하면 전 세계 산업 공급망에 직접적인 영향이 발생합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어떻게 진행됐나?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중희토류 금속 6종과 희토류 자석의 수출을 통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자원들은 이제 특별 허가 없이는 중국 밖으로 반출이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전략적 보복으로 해석됩니다.
미국의 반도체, 군수산업, 자동차 등은 즉각적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 산업계의 반응: "심각한 공급망 위기"
미국 희토류 가공업체인 MP 머티리얼스의 제임스 리틴스키 CEO는 다음과 같이 경고했습니다:
"무인기(드론)와 로봇 공학은 전쟁의 미래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그 핵심 물질의 공급망이 닫히는 것을 보고 있습니다."
미국은 희토류의 채굴 및 정제 역량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공급선이 막히면 군수물자 생산에 직접적인 차질이 예상됩니다.
보잉 인수 보류: 항공산업에도 직접 타격
희토류 통제와 함께 중국 민간항공사 지샹항공은 미국 보잉사의 787-9 드림라이너 항공기 인수를 보류했습니다.
이 항공기는 1억 2000만 달러(약 1700억 원)에 달하는 고가 계약으로, 3주 내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무기한 보류된 것입니다.
보잉은 팬데믹과 품질 이슈로 인해 이미 위기를 겪고 있었는데, 중국의 신규 주문 감소와 인도 지연으로 중국 시장 의존도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세와 산업 충격의 ‘도미노 효과’
현재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45% 관세,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125% 관세를 부과 중입니다.
이로 인해 테슬라조차 모델 S와 모델 X의 중국 내 신규 주문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가격 인상' 문제가 아니라, 양국 산업 공급망의 신뢰 자체를 흔드는 구조적 위험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중국의 희토류 통제는 경제 전쟁의 핵심 무기
- 중국은 희토류 자원을 무기로 삼아 첨단 산업 전방위 압박 중
- 미국 산업계는 국방, 항공, 자동차, 반도체 전반에 걸친 공급망 위기에 직면
- 보잉, 테슬라 등 주요 기업들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
- 관세 전쟁은 이제 자원·기술·신뢰의 전쟁으로 확대 중
앞으로 미·중 간 갈등이 어떻게 전개될지, 그리고 각국이 전략자원 자립을 어떻게 준비해 나갈지가 글로벌 경제의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틀어쥐고, 보잉사 항공기 인수를 보류하면서 미중 관세 전쟁이 기술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와 보잉사 항공기 인수 보류가 미국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히 알아봤습니다.
총성 없는 전쟁은 산업의 각 분야로 확전 중입니다.
'중국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역사 속 민중 봉기와 현재 중국의 체제 위기 가능성 (3) | 2025.04.17 |
---|---|
중국 보복 관세의 실효 (实效) 가능성 분석 (3) | 2025.04.09 |
중국 양회: 중국 정치 주요 회의 이해하기 (2) | 2025.04.09 |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중국의 대미 관세 대응 (4) | 2025.04.07 |
상호관세 전쟁이 불러 온 미중 갈등의 첨예화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