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중무역갈등3 미중 무역전쟁의 진실과 트리핀 딜레마 2025년 4월 2일, 트럼프는 다시금 고율의 상호 관세 부과를 선언하며, “수십 년 동안 미국은 가까운 나라와 먼 나라, 친구와 적국 모두에게 약탈당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미국 내부에서는 정반대의 해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래리 해리스 교수는 "무역적자는 부(富)의 신호다"라는 칼럼을 통해 미국 경제 구조의 본질을 설명하며 트럼프의 주장에 반박했습니다. 오늘은 미중 무역 전쟁의 진실을 들여다볼까 합니다. 미국은 약탈당했는가? 무역적자, 트리핀 딜레마, 그리고 미중 무역전쟁의 진실 트럼프의 주장: 무역적자 = 약탈 트럼프는 무역적자를 “외국이 미국에서 돈을 벌고, 미국은 일자리를 잃는 구조”로 이해하고 있습니다.실제로 그는 2018년부터 미중 .. 2025. 4. 11.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중국의 대미 관세 대응 2025년 4월 7일,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면 사설을 통해 미국의 관세 압박에 대한 입장을 공식화했습니다. 사설은 “미국의 관세 남용은 중국 경제에 단기적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하늘이 무너질’ 정도는 아니다”라며 강경하면서도 침착한 대응 기조를 드러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사적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중국 정부가 준비한 다양한 대응 전략과 경제적 여력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민일보 사설의 핵심 요지를 정리하고, 중국의 실질적인 대응 능력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미국 의존도 낮추고, 수출 다변화 성공 인민일보는 사설에서 먼저 중국의 수출 구조 변화를 언급했습니다. 2018년 전체 수출 중 미국이 차지하던 비중은 19.2%였지만, 2024년에는 14.7%로 감소했습니다.이는 .. 2025. 4. 7. 트럼프 관세 전쟁: 제 2의 플라자 합의 가능성 트럼프 1기 때 시작된 미·중 무역 갈등은 트럼프 2기를 맞아서도 여전히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기술, 금융, 군사 패권 경쟁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미국은 1985년 플라자 합의(Plaza Accord)를 통해 일본 엔화 강제 절상을 유도한 것처럼, 제2의 플라자 합의(Plaza Accord 2.0)를 통해 중국 위안화 절상을 압박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즉, 미·중 무역전쟁과 환율전쟁이 결합되면서, 새로운 국제 금융 질서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늘은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제2의 플라자 합의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1. 미·중 무역갈등의 핵심 원인 1)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 심화미국은 매년 수천억 달러 규모의 대중 무역적자를 기록 중.2023년 기준, 미국의 대중 .. 2025. 3. 2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