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정치40 트럼프 상호 관세 폭탄의 부메랑 효과 저는 앞선 포스팅에서, 4월 2일 (현지 시간)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는 결국 미국에 부메랑이 되는 자충수가 될 것이라고 얘기했습니다. 중국이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네요. 먼저 10일 12시를 기해 미국산 제품에 대해 동일하게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동시에 미국의 상호관세를 무역규칙 위반으로 WTO에 제소했습니다. 즉각적인 반응으로 어쩌면 진짜 미중 무역 전쟁의 서곡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트럼프가 해방의 날이라고 선언했지만 세계 각국으로선 분노의 날, 보복의 날, 인플레이션 D-데이가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제가 말씀드린 대로, 왜 트럼프의 상호 관세가 미국에 부메랑이 되는지 실제 사례를 가지고 부메랑 효과에 대해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상호관세의 부메랑 효과 미국 기업이지만.. 2025. 4. 5. 트럼프 상호 관세: 자충수와 부메랑의 다른 이름 어제 새벽 발표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전 세계가 시끄럽고 주식과 코인 시장은 폭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트럼프의 상호관세란 다른 나라가 미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매기면 미국도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되돌려 주겠다는 개념입니다. 결국 이것은 미국에게도 부메랑이 되어 돌아갈 자충수가 될 것입니다. 국제무역의 관세 정책을 넘어 미국 자국 내 산업과 경제 체질의 변경을 위한 시도겠지만, 제 귀에는 공정이라는 이름의 불공정 보호 무역주의로 들립니다. FTA 협정국인 우리에게도 25% 관세를 매겼고,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한 현대차도 이 파고를 벗어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런 배경에 스티브 미란의 보고서가 트럼프의 이번 고관세 정책의 출발이라는 점에서 미란 보고서를 살펴보고 또 이번 트럼프의 상호 관.. 2025. 4. 4. 트럼프는 왜 나토(NATO) 탈퇴를 주장할까? 지난달 9일 일론 머스크가 미국의 나토(NATO) 탈퇴를 지지하는 입장을 다시 한번 표명했습니다.트럼프에 이어 일론 머스크까지 가세해 나토를 정조준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머스크는 공화당 마이크 리 상원의원의 "미국은 당장 나토를 탈퇴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하며, 미국이 유럽 방위비를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토에 회의적 태도를 보이며, 미국이 다른 회원국을 방어하는 반면, 역으로 보호받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나토 탈퇴를 표명해 왔습니다. 트럼프는 왜 나토 탈퇴를 주장하고 있을까요?오늘은 이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1. “미국이 너무 많이 부담하고 있다”는 인식 트럼프의 가장 일관된 주장은 바로 이것입니다. “나토는 미국만 돈 내고 다른 나라는 무임승차하고 있다”주요 주장.. 2025. 4. 1. 북극의 보물섬 그린란드: 미국이 원하는 이유 트럼프는 2019년 그린란드를 사고 싶다고 직접 언급했으며 최근에도 그린란드 매입을 둘러싸고 도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어쩌면 트럼프가 탐내는 마지막 부동산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미국이 이처럼 그린란드를 노리는 이유로는 크게 4가지 정도로 대별할 수 있습니다.북극 안보 요충지로서의 군사기지희귀 광물 및 자원 확보기후 변화로 열린 북극항로의 주도권 확보중국과 러시아 견제 전략 여러분은 ‘그린란드’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하얀 얼음, 북극곰, 오로라 같은 자연 풍경이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하지만 지금 그린란드는 세계 강대국들이 눈독 들이고 있는 자원 보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이 얼음의 땅 아래에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석유보다 더 전략적으로 중요한 희토류, 우라늄, 철광석, 니켈, 아연 같은.. 2025. 3. 31. 파나마 운하: 미국과 중국의 또 다른 전장 블룸버그 통신의 26일 자 보도에 따르면, 홍콩의 재벌 리카싱이 자신이 소유했던 파나마 운하 운항권을 190억 달러에 미국 컨소시엄(블랙록)에 매각하자, 중국 정부가 강하게 반발했다며, 리카싱이 가지고 있는 중국 항만 운영권을 회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개인 또는 법인 자산도 마음대로 처분 못하는 것이 중국의 지배하에 있는 홍콩의 오늘날 모습입니다. 파나마 운하의 운항권은 세계 해운·무역의 심장부를 누가 장악하느냐를 결정짓는 문제로, 중국이 장악하던 운하 관리권이 미국으로 넘어갔다면, 이는 단순한 항로 변경을 넘어선 지정학적 나비효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겠습니다.1. 파나마 운하 운항권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넘어갔다 현재 파나마 운하는 공식적으로는 파나마 정부가.. 2025. 3. 28. 트럼프: 네오콘의 적 이제 트럼프 2기가 출범했습니다. 미 국가정보국장 (DNI)에 털시 개바드가 임명되었습니다.그녀는 민주당 시절 오바마와 힐러리로 대변되는 딥스의 대표주자에게 눈밖에 나서 민주당을 탈당하고 누가 실제 미국을 지배하냐며 미국의 내부 적들에 관한 책도 쓴 인물입니다. 이제 이들과 딥스의 핵심 브레인인 네오콘과의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트럼프와 네오콘의 갈등은 단순한 인물 대립이 아닌, 미국 외교·안보 전략의 패러다임 충돌입니다.트럼프는 반(反)네오콘 진영의 대표 인물로, 고립주의적 민족주의 (아메리카 퍼스트)를 내세우며 전통 네오콘 세력과 정면충돌해 왔습니다. 그 양상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1. 핵심 요약: 트럼프 vs 네오콘, 무엇이 다른가? 항목트럼프네오콘외교 노선미국 우선.. 2025. 3. 24. 이전 1 ··· 3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