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정치

시진핑의 열병식 정치학: 무기 쇼인가, 권력 쇼인가?

by 폴리조커 2025. 9. 1.
반응형

중국의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전승절) 기념 열병식을 사흘 앞둔 31일 중국 베이징 천안문 인근 거리에 설치된 꽃 조형물 앞에서 행인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2025.8.31/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출처: 뉴스1

 

2025년 9월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은 다시 한번 세계 언론의 카메라 플래시 세례를 받습니다.

중국의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열병식 때문이죠.

 

이번 행사는 단순한 군사 퍼레이드가 아닙니다.

첨단 무기 과시를 넘어, 시진핑 권좌의 정치학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무대이기 때문입니다.

 

1. 톈안먼 성루 위의 시진핑: 권력 집중의 상징

열병식의 핵심 연출은 단연 시진핑 주석의 성루 연설입니다.

과거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가 그랬듯, 국가적 기념식에서 최고지도자가 군사력을 직접 지휘하는 모습은 "당과 국가, 그리고 군 모두를 내가 장악했다"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게다가 이번엔 김정은과 푸틴까지 초대해 나란히 자리하게 했습니다.

이는 중국이 반(反)서방 진영의 맹주로 자리 잡겠다는 선언과도 같죠.

단순한 열병식이 아니라, 국제 질서 재편의 무대인 셈입니다.

 

2. 무인화·AI 전력 과시: 미래 전쟁의 주도권 선언

이번 열병식의 가장 큰 특징은 무인화와 AI 무기의 대거 등장입니다.

AI 기반 스텔스 드론(FH-97), 초대형 무인잠수정(XLUUV), 무인 전차와 장갑차가 등장하며 중국은 "우리는 인구 구조 문제(병력 감소)를 AI로 극복하고 미래 전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특히 FH-97 무인기는 유인 전투기를 호위하는 '윙맨 드론'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미국보다 앞서 실전 배치했다는 점에서 국제적 파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시진핑식 이상(理想), 즉 “중국식 현대화의 군사판”이 여기에 투영된 것입니다.

 

3. 2027년 목표 점검 무대

시진핑은 2017년부터 “2027년까지 세계 일류 군대 건설”을 강조해왔습니다.

이번 열병식은 그 목표를 향한 중간 점검 무대로 해석됩니다.

 

중국군 고위 당국자가 “열병식에 나온 모든 무기는 이미 실전 배치됐다”라고 강조한 것도,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음을 과시하려는 의도입니다.

다시 말해, 이번 행사는 단순히 무기를 뽐내는 자리가 아니라, “우리는 로드맵대로 가고 있다”는 선언입니다.

 

4. 민족주의와 반서방 메시지

열병식의 공식 명칭은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기념”입니다.

사실상 일본과 서방을 겨냥한 역사 서사죠.

중국 공산당이 항일전쟁에서 승리를 이끌었고, 지금도 중국을 지켜내고 있다는 프레임을 강화합니다.

 

경기 침체와 청년 실업, 부동산 위기로 내부 불만이 고조된 상황에서 시진핑은 “강력한 중국”이라는 집단적 자부심으로 불만을 희석하려는 정치적 계산을 하고 있습니다.

 

5. 시진핑 권좌의 이상과 장기 집권의 그림자

이번 열병식은 시진핑의 정치적 이상을 집약합니다.

중국몽(中國夢)의 군사적 버전, 즉 “AI와 무인화를 기반으로 한 세계 일류 군대”, 그리고 “반서방 블록의 중심국”으로서의 중국입니다.

 

국내적으로는 당과 군, 국가를 완전히 장악했다는 권좌 강화, 국제적으로는 미국과 대등한 패권 경쟁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야심. 이는 단순한 열병식이 아니라, 마오쩌둥 이후 ‘영구 지도자’를 꿈꾸는 시진핑의 이상을 드러내는 연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결론: 무기 쇼를 넘어선 권력 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펼쳐질 열병식은 사실상 중국판 권력 쇼입니다.

초대형 무인잠수정, 스텔스 드론, 극초음속 미사일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무기를 통해 시진핑이 던지는 정치적 메시지죠.

 

시진핑의 열병식 정치학은 우리에게 묻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무기 쇼인가, 아니면 권좌의 미래를 알리는 쇼인가?”

아마 답은 두 가지 모두일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