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트럼프 2기가 출범했습니다.
미 국가정보국장 (DNI)에 털시 개바드가 임명되었습니다.
그녀는 민주당 시절 오바마와 힐러리로 대변되는 딥스의 대표주자에게 눈밖에 나서 민주당을 탈당하고 누가 실제 미국을 지배하냐며 미국의 내부 적들에 관한 책도 쓴 인물입니다.
이제 이들과 딥스의 핵심 브레인인 네오콘과의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트럼프와 네오콘의 갈등은 단순한 인물 대립이 아닌, 미국 외교·안보 전략의 패러다임 충돌입니다.
트럼프는 반(反)네오콘 진영의 대표 인물로, 고립주의적 민족주의 (아메리카 퍼스트)를 내세우며 전통 네오콘 세력과 정면충돌해 왔습니다.
그 양상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핵심 요약: 트럼프 vs 네오콘, 무엇이 다른가?
항목 | 트럼프 | 네오콘 |
외교 노선 | 미국 우선주의, 고립주의 | 미국 예외주의, 개입주의 |
군사 개입 | 최소화, 전쟁 반대 | 적극적 개입, 선제 공격 지지 |
중동 정책 | 철군, 반전 | 민주주의 수출, 이스라엘 중심 정책 |
글로벌주의 | 반대 (국경 통제, 탈세계화) | 지지 (국제질서 유지, 개입 정당화) |
국제 동맹 | 회의적 (NATO, UN 경시) | 동맹중시 (NATO 확대 지지) |
트럼프는 네오콘이 대표하는 "워싱턴 기득권 + 군산복합체 + 외교 엘리트층"을 지속적으로 공격해 왔습니다.
2. 대표적 갈등 사례
1) 이라크 전쟁 비판
- 트럼프는 공화당 대선 후보 토론(2016)에서 “이라크 전쟁은 거짓말에 근거한 최악의 실수”라고 발언
- 이는 부시+체니+네오콘 라인 전체에 대한 정면 비판
- 당 내 네오콘들은 트럼프를 비난하며 “비애국적”이라 공격
2) 존 볼턴 해임 (2019)
- 트럼프는 네오콘 핵심 인물 중 하나인 존 볼턴(前 국가안보보좌관)을 "전쟁광(warmonger)"이라고 비판하며 경질
- 볼턴은 이후 트럼프를 비난하는 회고록 출간 → 공화당 분열 심화
3) 시리아, 아프간 철군 추진
- 트럼프는 중동 개입을 “끝없는 전쟁(endless wars)”이라 부르며 철군 추진
- 네오콘은 이런 철군이 미국 안보와 동맹에 위협이 된다며 강하게 반대
4) NATO 비판
- 트럼프는 NATO 동맹국에 대해 “미국이 일방적으로 지불하고, 그들은 무임승차하고 있다”라고 비판
- 네오콘은 NATO의 국제 질서 유지 기능을 중시하며 적극적 유지 주장
3. 정치적 실체로서의 충돌
공화당 내 권력 투쟁 | 트럼프의 MAGA(아메리카 퍼스트) 진영 vs 전통 보수/네오콘 |
네오콘의 탈당·이탈 | 2020년 대선에서 일부 네오콘 인사들이 민주당 바이든 지지 선언 |
언론·기득권 전쟁 | 트럼프는 CNN, 워싱턴포스트, 딥스테이트 등을 “네오콘+엘리트 동맹”으로 지목 |
4. 현재 상황 (2024~2025년 기준)
1) 트럼프의 대통령 복귀
- 트럼프 2기가 막 출범한 만큼
→ 네오콘 정책 라인은 대거 축출되고,
→ 미군 해외 주둔 축소,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 동맹 재협상 등이 현실화될 수 있음.
2) 네오콘의 새 둥지: 민주당 내부 일부 진영
- 네오콘 인사들이 바이든 정부의 대러시아/대중국 강경 정책을 지지
- 대표 사례: 빅토리아 눌런드, 로버트 케이건 등은 바이든 안보라인에서 영향력 행사 중
5. 트럼프 vs 네오콘: 미국 세계 전략을 두고 벌이는 "노선 전쟁"
항목 | 트럼프 노선 | 네오콘 노선 |
기조 | 미국 우선, 반글로벌 | 미국 중심 글로벌 통치 |
군사 | 반전, 철군, 재정비 | 개입, 확산, 영향력 강화 |
외교 스타일 | 일방주의, 실용주의 | 다자주의, 이념 중심 |
국내 영향력 | 대중 지지 기반, 반기득권 | 엘리트·기득권 중심, 미디어 장악 |
우리 한국과 관련하여도 네오콘의 입김은 세었습니다.
네오콘은 북한과의 협상보다는 강력한 제재와 군사적 압박을 선호합니다.
부시 행정부(2001~2009)에서 네오콘이 주도적으로 북한을 ‘악의 축(Axis of Evil)’으로 규정하고 대북 강경책을 추진했습니다.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에도 네오콘 출신 인사들(예: 볼턴)이 개입하여 북한과의 협상 실패를 유도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미국 네오콘은 우리의 안보, 외교, 경제 정책에 강한 영향을 미쳐 왔으며, 특히 한미동맹 강화, 대북 강경 정책, 중국 견제 전략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행사해 왔습니다. 트럼프 2기에서도 미중 패권 경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네오콘의 입장이 우리의 외교·안보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볼 일입니다.
트럼프는 네오콘의 입장에서는 적입니다. 딥스 (그림자정부) 입장에서도 제거대상 1호입니다.
앞으로 전개될 이 싸움이 자못 궁금합니다.
저의 답은 이미 나와있지만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지요?
'미국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극의 보물섬 그린란드: 미국이 원하는 이유 (2) | 2025.03.31 |
---|---|
파나마 운하: 미국과 중국의 또 다른 전장 (0) | 2025.03.28 |
네오콘의 가면: 전쟁의 이면 (1) | 2025.03.24 |
그림자 정부 (딥스)와 세계 정치 (3) | 2025.03.23 |
트럼프 딥스와의 전쟁 선포 (2)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