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0

미국 관세 폭탄보다 더 무서운 '마러라고' 합의 트럼프가 다시 한번 세계 경제 질서를 흔들고 있습니다.전면적인 수입 관세 부과에 이어 90일 유예, 하지만 더 깊고 근본적인 조치로 알려진 비공식 전략, ‘마러라고 합의(Mar-a-Lago Accord)’가 주요 경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이 전략은 1985년의 ‘플라자 합의(Plaza Accord)’와 비교되며 미국 경제정책의 전환점을 시사합니다. 오늘은 미국 관세폭탄보다 더 무서운 마러라고 합의가 무엇인지, 플라자 합의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이 전략이 세계 경제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 수 있을지 알아봅니다. 마러라고 합의 vs 플라자 합의: 트럼프의 달러 전략이 세계에 미칠 파장은?  마러라고 합의란 무엇인가? ‘마러라고(Mar-a-Lago)’는 트럼프 대통령의 플로리다 별장 이름입니다.이 명.. 2025. 4. 13.
러시아 파병으로 본 북한 외교 전략 러시아로의 북한군 파병으로 최근 국제 사회에서 북한의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과는 ‘혈맹’이라 자처하고, 러시아와는 연이어 정상회담을 이어가며 무기 거래설까지 흘러나오고 특히나 러-우 전쟁에 러시아에 1만 명이 넘는 북한군 파병과 무기 지원으로 러시아와의 관계를 다지고 있죠. 그렇다면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러시아 파병으로 보여주는 겉과 속이 다른 북한의 외교 전략을 들여다보겠습니다. 북한이 중국을 바라보는 이중적 시선 북한은 외형적으로 중국을 ‘항미원조의 전우’, ‘사회주의 혈맹’이라고 표현합니다.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중국을 끝까지 신뢰하지 않는 분위기가 강합니다. 역사적 불신의 뿌리고려·조선 시대의 조공 외교: 중국 중심의 중화 질서에 대한 반감6.25 전쟁 개입: 정.. 2025. 4. 12.
미중 무역전쟁의 진실과 트리핀 딜레마 2025년 4월 2일, 트럼프는 다시금 고율의 상호 관세 부과를 선언하며, “수십 년 동안 미국은 가까운 나라와 먼 나라, 친구와 적국 모두에게 약탈당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미국 내부에서는 정반대의 해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래리 해리스 교수는 "무역적자는 부(富)의 신호다"라는 칼럼을 통해 미국 경제 구조의 본질을 설명하며 트럼프의 주장에 반박했습니다. 오늘은 미중 무역 전쟁의 진실을 들여다볼까 합니다. 미국은 약탈당했는가? 무역적자, 트리핀 딜레마, 그리고 미중 무역전쟁의 진실 트럼프의 주장: 무역적자 = 약탈 트럼프는 무역적자를 “외국이 미국에서 돈을 벌고, 미국은 일자리를 잃는 구조”로 이해하고 있습니다.실제로 그는 2018년부터 미중 .. 2025. 4. 11.
임시정부 수립 106주년, 오늘의 민주주의를 돌아보며 2025년 4월 11일, 오늘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6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날입니다.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해에서 수립되어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과 민주주의의 기틀을 세운 역사적 출발점이 되었죠. 106년이라는 시간 동안, 우리는 식민지 시기, 해방, 전쟁, 독재, 민주화, 세계화 시대를 거쳐 오늘날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완성했습니다. 임시정부 수립 106주년인 오늘, 우리의 민주주의를 돌아보며 조상들의 숭고한 뜻을 새겨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임시정부의 정신과 106년의 여정 1919년 4월 11일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헌법 제1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명시했습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 이는 국민이 주권을 가지는 민주국가를 만들겠다는 선언이었.. 2025. 4. 11.
미국 패권 유지 전략: 암호화폐 & AI가 바꾸는 글로벌 질서 트럼프 2기 인선에서 제 이목을 끈 것은 털시 개버드의 국가정보국장 (DNI) 임명과 암호화폐 & AI의 챠르 (Tsar) 임명입니다.털시 개버드는 민주당 출신으로 민주당 대선 후보까지 나온 인물인데 공화당 행정부에 인선이 된 점, 그리고 암호화폐와 AI 차르라는 신설 조직으로 왜 하필 암호화폐와 AI를 특정했는가 하는 점입니다. 최근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로 세계 금융 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저는 지난 포스팅에서 경기 침체가 트럼프의 의도된 전략일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그 연장선에서 트럼프는 왜 암호화폐 및 AI 챠르를 인선했는지, 트럼프가 꿈꾸는 미국의 패권 유지 전략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미국 패권 유지 전략: 암호화폐와 AI가 바꾸는 신 세계 질서 최근 다양한 글로벌 리서치.. 2025. 4. 10.
일본 정부 1인당 50만 원 현금 지급: 경기부양? 선거용 퍼주기? 9일 일본 아사히 신문은 정부와 여당이 소득에 상관없이 1인당 5만 엔 (한화 약 50만 원)을 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그 이유로 트럼프의 관세 조치로 인한 경제 대책의 일환"으로 설명하지만, 제 귀엔 올여름 참의원 선거를 의식한 선거용 퍼주기로 들립니다. 한국이나 일본이나 보수 정치인 수준은 도톨이 키재기입니다.예의도 염치도 부끄러움도 창피도 모르는 이기적 인간 군상들입니다. 오늘은 일본 정부의 전국민 대상 1인당 50만 원 현금 지급이 진짜 경기부양의 일환인지 아니면 선거용 퍼주기인지에 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일본 정부의 1인당 50만 원 현금 지급, 진짜 경기부양? 아니면 선거용 퍼주기? 일본 정부가 갑작스럽게 꺼내든 현금 지급 카드.국민 1인당 50만 원 지급은.. 202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