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정치

통일교 구속심사, 권성동 구속과 한학자 영장 — 통일교 정치 로비 의혹

by 폴리조커 2025. 9. 19.
반응형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한학자 통일교 총재(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17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마련된 김건희 여사의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세 번의 소환 불응 만에 자진 출석하고 있다.

 

서막 — 권성동 구속, 그리고 통일교 총재의 영장

지난주 대한민국 정치권은 충격적인 뉴스로 들썩였습니다.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통일교 전직 간부로부터 현금 1억 원을 받은 혐의로 결국 구속된 것입니다.

 

불체포특권을 스스로 포기하며 “결백하다”고 외쳤지만, 법원은 “증거인멸 우려”를 들어 영장을 발부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한학자 통일교 총재 역시 정치자금법 위반, 청탁금지법 위반, 업무상 횡령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되면서 수사의 칼끝은 교단의 정점으로 향했습니다.

 

통일교와 정치권의 유착은 오랜 의혹이었지만, 이번에는 단순한 소문이 아니라 구체적인 금품 전달 정황과 당원 명부 데이터라는 물적 증거들이 쏟아지며 수사의 무게감이 달라졌습니다.

 

국민의힘 당원 DB 압수수색 — 드러난 11만 명의 그림자

특검팀은 9월 18일, 국민의힘 당원명부 DB 관리업체를 전격 압수수색했습니다.

그리고 통일교 교인 120만 명 명단과 국민의힘 당원 500만 명 명단을 대조한 끝에, 무려 11만 명이 중복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특히 2023년 전당대회 직전 신규 가입자들 중 통일교 교인들이 집단적으로 입당했다는 정황이 강하게 의심됩니다.

정치권에서는 “3천500명 수준에 불과하다”는 반론도 나오지만, 이미 권성동 구속 사례가 보여주듯, 숫자의 많고 적음이 문제가 아니라 조직적 개입의 흔적이 본질입니다.

 

종교와 정치 — 왜 유독 한국에서 이렇게 얽히는가?

그렇다면 질문이 생깁니다.

왜 유독 한국의 종교는 이렇게 정치에 깊게 관여할까요?

교리의 순수함보다 권력의 달콤함을 더 좇는 걸까요?

  • 표의 힘: 대형 종교단체는 수십만, 많게는 수백만의 신도를 보유합니다. 정치권 입장에서는 이것이 곧 ‘표 창고’입니다.
  • 정책 로비: 세금 감면, 토지 개발 특혜, 건축 허가 등 종교단체가 얻을 수 있는 실질적 이익은 막대합니다.
  • 사회적 영향력: 종교 지도자의 발언은 곧 ‘신의 뜻’으로 포장되며, 이는 정치적 지지로 번역됩니다.

종합하면, 종교는 정치권에 조직표와 영향력을 제공하고, 정치는 종교에 세속적 이익과 권력의 보호막을 제공합니다.

서로가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는, 불편하지만 끊기 어려운 동거인 셈입니다.

 

통일교 사건의 교훈 — “성역은 없다”

이번 권성동 구속과 한학자 영장 청구는 하나의 분수령이 될 수 있습니다.

정치권과 종교의 유착이라는 ‘공공연한 비밀’에 드디어 칼을 대기 시작한 것이죠.

 

그간 한국 정치사는 크고 작은 종교 스캔들로 얼룩져 왔습니다.

특정 종교단체가 대선과 총선에 조직적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은 수십 년째 이어지고 있고, 실제로 선거 때마다 ‘기도회’라는 이름으로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장면이 반복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의혹이 아니라 구체적 증거와 자금 흐름이 드러나면서 종교 권력의 실체를 벗겨내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왜 지금 이 시점에서 터졌을까?

많은 이들은 이번 사건이 단순히 개인 몇 명의 비리가 아니라, 한국 정치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것이라고 봅니다.

 

특히 경제·사회 위기가 심화될수록 정치권은 조직표와 후원금에 목말라 있고, 종교는 세속적 영향력을 확대하려 합니다. 서로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순간, 국민의 세금과 정치의 공정성은 뒷전으로 밀려나 버립니다.

 

앞으로의 과제 — 종교와 정치의 건강한 거리 두기

종교는 신앙 공동체로서 순수성을 지켜야 하고, 정치는 국민 전체를 위한 공적 영역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는 여전히 종교=권력집단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다음과 같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합니다:

  1. 종교단체 정치자금 전면 금지 — 명목 불문하고 금품 제공은 즉시 위법 처리.
  2. 정당 당원 가입 실명제 및 검증 강화 — 대규모 집단 가입 방지.
  3. 종교단체 회계 투명성 강화 — 교단 자금의 정치적 사용 차단.

무엇보다도, 국민의 인식 변화가 가장 중요합니다.

종교 지도자가 설령 “이 후보를 지지하라”라고 말하더라도, 신도들이 양심적이고 독립적인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맺음말

권성동 구속, 한학자 영장 청구, 그리고 통일교 집단 입당 의혹은 한국 정치와 종교의 불편한 결탁을 드러낸 사건입니다.

이번 사건이 단순히 일회성 스캔들로 끝날지, 아니면 정치와 종교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가 될지는 결국 국민의 눈과 목소리에 달려 있습니다.

 

분명한 건 있습니다.

더 이상 종교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정치라는 명분으로 국민 위에 군림하는 시대는 끝나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정치는 정치답게, 종교는 종교답게.” — 그 단순한 진리가 이제는 실현되어야 할 때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