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북미 하늘 아래, 그야말로 관세전쟁이라는 먹구름이 몰려왔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캐나다산 제품 대부분에 대해 35%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기존 25%도 충분히 무거웠는데, 35%라니… 캐나다 입장에서는 “친구라고 믿었는데 뒤통수를 맞은 기분”일 겁니다.
캐나다는 즉각 반응했습니다.
CBC 방송에 따르면, 많은 캐나다인들이 장을 보면서 상품 라벨을 확인하며 외칩니다.
“오, 메이플 시럽? 캐나다산이네. 미국산? Bye!”
미국산 불매운동은 식품, 생활용품, 여행, 심지어 스트리밍 서비스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스노버드(Snowbird)라 불리는 겨울철 미국 장기 체류도 중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캐나다 관세 합의 불발 파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1.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이번 관세 폭탄의 배경은 간단합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협상이 기한 내에 타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불균형한 합의는 없다”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사실상 미국의 일방주의적 무역 전략이 이번 사태의 핵심입니다.
캐나다 총리 마크 카니는
“캐나다 정부는 이 조치에 깊이 실망했다. 하지만 성급한 합의보다는 강력한 합의를 원한다.”
라며 “나쁜 합의보다 무합의가 낫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야당 보수당도 “미국이 모든 관세를 철폐할 때까지 물러서지 말라”고 총리를 압박하고 있죠.
2. 단기 경제적 파장
① 캐나다의 충격
- 대미 수출 비중이 75%에 달하는 캐나다는 즉각 타격.
- 목재·알루미늄·자동차·농산물 등 핵심 산업의 경쟁력 하락.
- 국민들은 미국산 불매 → 소비 패턴 변화 → 단기 경기 위축.
- 무역 불확실성으로 캐나다 달러 약세, 투자심리 위축.
② 미국의 역풍
- 캐나다의 보복관세 시, 미국 자동차·농기계·식품 수출 타격.
- 목재·알루미늄·에너지 가격 상승 → 건설·제조업 비용 증가.
- 북부 산업주(미시간, 오하이오 등) 정치적 반발 가능.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를 혼쭐내겠다” 했지만 정작 혼쭐나는 건 미국 소비자와 건설업체가 될지도 모릅니다.
3. 중·장기 전망: 북미 경제의 시계는 흐릿하다
① 북미 공급망 재편
관세 전쟁이 길어지면 자동차·에너지·목재 등 북미 상호 의존형 공급망이 흔들립니다.
기업들은 멕시코·아시아 등 제3국으로 생산 거점을 옮길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미국도 손해입니다.
② 무역 의존도 변화
캐나다는 유럽·아시아로 수출 다변화를 추진할 것이고, 미국 역시 캐나다산 자원을 다른 나라에서 대체하려 할 겁니다.
하지만 이런 변화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죠.
③ 정치·외교 갈등 심화
경제적 충돌은 외교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NATO, 북극권 전략, 기후협약 등 다양한 다자 협력에서 캐나다가 “믿음직한 동맹?”이라는 의문을 품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개인적인 생각: 캐나다를 응원하며, 원만한 해결을 기대한다
저는 개인적으로 캐나다의 입장을 옹호합니다. 트럼프의 일방주의적 관세 전략은 참으로 피곤하고, 북미 우정에도 상처를 남기죠. 하지만 솔직히 말해, 경제 전쟁에서 승자는 없습니다.
캐나다가 불매운동으로 미국에 불편을 주고, 미국이 관세로 압박하는 지금의 치킨 게임이 오래간다면 결국 피해자는 양국 국민이 됩니다. 라벨 확인하며 장 보는 캐나다 시민도, 목재 가격에 골머리 앓는 미국 건설업자도, 서로 피곤할 뿐이죠.
따라서 이번 갈등은 조속히 원만한 합의로 풀리길 바랍니다.
USMCA를 기반으로 한 공정하고 상호존중적인 합의만이 북미 경제의 안정과 미래를 지킬 수 있습니다.
5. 결론: 관세 전쟁의 교훈
이번 사태는 두 가지를 보여줍니다.
첫째, 무역 전쟁의 승자는 없다.
둘째, 경제는 정치의 볼모가 되면 모두 손해라는 사실입니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는 단기적 압박에는 성공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북미 신뢰를 갉아먹는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 제발, 북미 가족싸움은 그만하고 미시간의 자동차도, 퀘벡의 메이플 시럽도 서로 행복하게 국경을 넘길 날이 오길 바랍니다.
'세계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ICS가 커도 위안화는 못 큰다? 달러 패권의 진짜 이유 (5) | 2025.07.31 |
---|---|
중국 견제 본격화: 인도-태평양에서 벌어지는 3중 전선 (0) | 2025.07.16 |
미국의 '우방 압박' 외교: 일본과 호주에 요구한 진짜 이유는? (0) | 2025.07.12 |
트럼프 "네타냐후 재판은 정치적 마녀사냥", 옹호의 숨은 이유는? (5) | 2025.06.29 |
미국의 이란 공격이 중국에 던진 지정학적 경고 메시지 (1)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