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49 중국 민심 이반, 어디까지 왔나? – 허베이 '반공산당' 표어에서 읽는 변화의 조짐 최근 중국 허베이성 랑팡의 한 거리 전봇대에서 발견된 대형 표어가 중국 안팎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중공(중국 공산당)은 중국이 아니다”라는 이 문구는 단순한 낙서가 아닙니다. 이는 오랜 세월 국가와 집권당을 동일시해 온 중국 정치 구조에 대한 공개적인 도전이며, 민심의 균열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오늘은 이 사건으로 읽는 중국의 민심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표어 속에 담긴 두 개의 정체성표어에는 이렇게 덧붙여져 있었습니다.“중공은 마르크스-레닌의 후예이고, 중국 인민은 염황의 자손이다.” 여기서 ‘염황의 자손’은 수천 년 전 중국 문명의 시조로 꼽히는 염제(炎帝)와 황제(黃帝)의 후손임을 뜻합니다.전통 중국 문명과 역사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표현이죠. 반면 ‘마르크스-레.. 2025. 8. 15. 제21대 대통령 ‘국민임명식’ — 광화문에서 빛난 주권 2025년 8월 15일,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제21대 대통령 국민임명식이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립니다.이번 행사는 두 달 전 취임 선서만 마치고 곧바로 국정에 들어갔던 이재명 대통령의 ‘정식 취임식’ 성격을 띠며, 역사적·상징적 의미가 매우 큽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행사 전부터 ‘반쪽 행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보수 진영의 주요 인사와 제1야당인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거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입니다. 국민임명식, 무엇이 다른가?이번 국민임명식의 가장 큰 특징은 ‘국민이 대통령을 임명한다’는 형식입니다.광화문 중앙 원형 무대에 국민대표 80명이 올라 각자 직접 작성한 임명장을 대형 큐브에 거치합니다.이 큐브는 내부 LED가 점등되어 ‘빛의 임명장’으로 완성되며, 이는 주권자인 국민이 대통령에게 권.. 2025. 8. 15. 조국 전 대표, 사면 이후 행보와 정치권 파장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정치권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복귀가 가져올 변화와 전략적 선택지를 종합 분석해 본다. 1. 사건 개요 – 242일 만의 귀환2025년 8월 15일 0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서울남부교도소에서 출소한다.지난해 12월 자녀 입시 비리 등 혐의로 징역 2년이 확정돼 수감된 지 242일 만이다.이번 사면·복권은 이재명 정부 첫 특별사면으로, 여권과 야권의 주요 인사들이 함께 명단에 올랐다. 정계 복귀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혁신당 내부에서는 올해 10~11월 전당대회를 통해 조 전 대표를 당대표로 재추대하는 수순이 유력하다. 2. 복귀 후 선택지 – 재·보궐선거 vs 지방선거정치권에서 가장 주목하는 것은 출마 형태다.현재 거론되는 시나리오는 크게 두.. 2025. 8. 12. 미국, '학생비자진실성법(S.2555)' 발의와 그 의미 2025년 7월 말, 미국 상원에서 중국과 이란 등 적대국 출신 유학생들의 비자 발급을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되며 국제 교육계와 외교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 안보를 우선시하는 트럼프의 노선과 맞아 향후 동 법안이 상하원 통과 시 트럼프가 서명할 가능성이 높은 이 법안에 대해 오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무엇이 발의되었는가: 학생비자진실성법(S.2555)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토미 튜버빌(앨라배마주)은 2025년 7월 31일, ‘학생비자진실성법(Student Visa Integrity Act, S.2555)’을 공식 발의했습니다. 이 법안의 핵심 내용은 미국의 지정된 적대국 출신 외국인 학생들에게 비자 발급을 금지하는 것입니다.법안에서 지정한 ‘적대국’은 .. 2025. 8. 7. 조국 사면·복권 논의, 명분과 걸림돌 그리고 정치권 파장 2025년 8월, 정국의 최대 이슈 중 하나는 단연 조국 전 법무부 장관(현 조국혁신당 전 대표)의 사면·복권 여부입니다.문재인 전 대통령이 직접 이재명 대통령 측에 사면 필요성을 전달하며 이 논의는 공식 정치권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① 사면·복권 제안 배경과 ② 현실적 걸림돌, ③ 사면 시 예상되는 정치권 파장과 풍향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1. 조국 사면·복권 제안 배경①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직접 건의2025년 8월 15일 광복절 특별사면을 앞두고 문 전 대통령은 경남 양산 평산마을에서 우상호 정무수석과 면담문 전 대통령 발언 요지:“이번에 사면·복권이 있느냐?”“정치인을 사면한다면 조 전 대표도 할 필요가 있지 않느냐”우상호 수석: “뜻을 전달하겠다”문재인 정부 초대 .. 2025. 8. 6. 이재명 정부 출범 2개월, 지지율 반등과 초기 성과 분석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이제 겨우 2개월. 인수위조차 없이 출발한 정부지만, 초기 국정 운영은 쉼 없이 달려왔고, 그 결과 국정 지지율은 63.3%까지 반등했습니다. 내란 종식, 한미 관세 협상, 민생경제 안정 등 굵직한 성과를 이어가며 국민 통합과 정책 신뢰를 동시에 잡아가고 있습니다.오늘은 이재명 정부의 초기 위기 대응과 공약 이행도, 그리고 지지율 상승의 배경과 의미, 향후 전망까지 분석해 봅니다. 1. 초기 국정에서 맞닥뜨린 주요 위기 상황① 정치·사회적 불안과 내란 종식정부 출범 직후, 국내 정치 상황은 안정적이지 않았습니다.초기 내란 사태가 발생하며 국정 운영의 첫 시험대가 되었죠.이재명 대통령은 신속한 대응과 정치적 수습으로 내란을 조기 종식시켰고, 이는 국정 지지율 안정화의 중요한 전환점.. 2025. 8. 5. 이전 1 2 3 4 ··· 4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