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49 왕양 어록을 통해 본 중국 차세대 지도자의 진면목 지난번 포스팅에서 시진핑의 처리 문제를 두고, 군부를 장악한 장여우샤와 온건파인 공청단파와의 갈등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철두철미한 시진핑파 제거를 주장하는 장여우샤, 명예퇴진을 제시하는 공청단의 대표주자 왕양.그 결과는 조만간 밝혀질테니, 오늘은 차세대 지도자로 주목받는 왕양의 그간 정치 어록을 통해 그 인물됨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왜 지금 ‘왕양’인가?중국 정치의 무게 중심이 흔들리고 있습니다.시진핑 체제가 장기화되고, 사회·경제적 피로감이 높아지면서, ‘다음’에 대한 질문이 커지고 있는 시점입니다.그 중심에 다시 주목받는 이름, 바로 왕양(汪洋)입니다. 그는 한때 광둥성을 이끌며 실용주의적 개혁을 추진했고, 중앙 정계에서는 전국정협 주석을 맡으며 정치적 균형감각을 보여줬습니다. 그러나 .. 2025. 6. 20. 미국의 이란 공격? 핵심 쟁점과 향후 시나리오 분석 2025년 6월, 중동 지역이 다시 한번 국제사회의 중심에 섰습니다.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격을 승인했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전 세계는 숨을 죽이고 향후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1. 배경: 이란 핵시설과 군사개입 논의이란은 최근 몇 달간 핵농축 활동을 확대하고 있으며, 포르도(Fordo) 지역의 지하 핵시설이 주요 우려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란의 핵무장 가능성을 ‘레드라인’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는 벙커버스터(GBU-57 MOP) 등 초정밀 무기를 활용한 선제타격 가능성으로 이어졌습니다. 포르도 핵시설은 산악지대 깊숙이 위치해 있으며, 이스라엘 등 중동 동맹국들은 자체적으로 해당 시설을 타격할 능력이 없는 상황입니다. 결국 미국의 개입 없이는 직접적 위협.. 2025. 6. 20. 시진핑 퇴진설과 중국 권력투쟁의 민낯 중국 권력투쟁의 민낯 - 태자당, 군부, 정치국의 숨 가쁜 줄다리기2025년, 세계 정세는 바야흐로 격동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특히 중국 내부에서 감지되고 있는 '시진핑 퇴진설'은 단순한 소문이 아닌, 명확한 정치적 움직임으로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진핑의 권위가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는 점점 더 구체화되고 있습니다.그 중심에는 세 개의 주요 세력이 있습니다. 바로 군부(장여우샤), 태자당(공산당 원로 자제 그룹), 그리고 공청단입니다.이 세력들 간의 미묘한 균형과 갈등은 마치 장기판을 방불케 합니다.1. 시진핑의 권위는 왜 흔들리는가?시진핑은 2012년 집권 이후 ‘중국몽’, 일대일로, 반부패 캠페인 등을 앞세우며 강력한 리더십을 구축해 왔습니다.하지만 지나친 권력 집중, ‘늑.. 2025. 6. 18. 북한, 러시아에 공병 등 6천 명 파병의 배경과 영향은? 2025년 6월, 국제사회는 북한의 또 다른 군사적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총 6,000명의 병력을 파견하기로 결정한 사실이 공개되었기 때문입니다.이 중 1,000명은 지뢰 제거를 위한 공병 병력, 나머지 5,000명은 전후 인프라 복구를 위한 군사 건설 인력입니다. 이 결정은 단순한 인도적 지원 이상의 함의를 지니며, 한국과 국제사회의 안보·외교 지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병 결정의 배경과 그 파장이 미치는 방향을 국내외 관점에서 다각도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 배경과 실체이 같은 발표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북한을 방문한 뒤 공개한 내용입니다.쇼이구는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 후 “이는.. 2025. 6. 18. 트럼프 이란 핵시설 타격 가능성…중동, 전면전 수순인가? 2025년 6월, 국제 정세가 또 한 번 거센 소용돌이에 빠졌습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G7 정상회의 일정을 중단하고 조기 귀국한 데 이어, 이란을 향한 강경 발언과 군사적 압박을 본격화하면서 중동 지역의 긴장이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란의 핵시설을 직접 타격하는 군사 옵션이 구체화되면서, 향후 미국과 이란, 나아가 이스라엘 간 전면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귀국 배경: 단순한 외교 아닌 '전략적 군사 판단'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도중 갑작스럽게 귀국을 결정했습니다.귀국 직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를 소집해 이란과 이스라엘 간 갈등에 대한 미국의 대응 방향을 논의했는데, 그 중심에는 외교적 해법보다는 군사적 개입에 가까운 강경 .. 2025. 6. 18. 이스라엘 美대사관 폐쇄와 트럼프의 ‘즉시 대피’ 메시지의 의미 전면 충돌로 번지는 이스라엘-이란 긴장2025년 6월,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의 군사적 충돌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북부 지역이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받아 최소 1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었고, 이에 따라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이 문을 닫고 전 직원과 가족에게 자택 대피령을 내리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또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즉시 테헤란을 떠나라”는 강경한 메시지를 SNS에 게시하며 사태의 심각성을 강조했습니다. 미국 대사관 폐쇄의 의미6월 16일, 예루살렘과 텔아비브에 있는 미국 대사관 및 영사관은 모두 운영을 중단하고, 미국 시민과 직원들에게 자택 또는 인근에서 즉시 대피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이는 단순한 조치가 아니라, 미국 정부가 이스라엘-이란 .. 2025. 6. 1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4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