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20 미중 무역전쟁의 진실과 트리핀 딜레마 2025년 4월 2일, 트럼프는 다시금 고율의 상호 관세 부과를 선언하며, “수십 년 동안 미국은 가까운 나라와 먼 나라, 친구와 적국 모두에게 약탈당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미국 내부에서는 정반대의 해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래리 해리스 교수는 "무역적자는 부(富)의 신호다"라는 칼럼을 통해 미국 경제 구조의 본질을 설명하며 트럼프의 주장에 반박했습니다. 오늘은 미중 무역 전쟁의 진실을 들여다볼까 합니다. 미국은 약탈당했는가? 무역적자, 트리핀 딜레마, 그리고 미중 무역전쟁의 진실 트럼프의 주장: 무역적자 = 약탈 트럼프는 무역적자를 “외국이 미국에서 돈을 벌고, 미국은 일자리를 잃는 구조”로 이해하고 있습니다.실제로 그는 2018년부터 미중 .. 2025. 4. 11. 미국 패권 유지 전략: 암호화폐 & AI가 바꾸는 글로벌 질서 트럼프 2기 인선에서 제 이목을 끈 것은 털시 개버드의 국가정보국장 (DNI) 임명과 암호화폐 & AI의 챠르 (Tsar) 임명입니다.털시 개버드는 민주당 출신으로 민주당 대선 후보까지 나온 인물인데 공화당 행정부에 인선이 된 점, 그리고 암호화폐와 AI 차르라는 신설 조직으로 왜 하필 암호화폐와 AI를 특정했는가 하는 점입니다. 최근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로 세계 금융 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저는 지난 포스팅에서 경기 침체가 트럼프의 의도된 전략일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그 연장선에서 트럼프는 왜 암호화폐 및 AI 챠르를 인선했는지, 트럼프가 꿈꾸는 미국의 패권 유지 전략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미국 패권 유지 전략: 암호화폐와 AI가 바꾸는 신 세계 질서 최근 다양한 글로벌 리서치.. 2025. 4. 10. 트럼프 관세 전쟁에 숨은 의도적 경기 침체 전략 대 중국 미국의 압박 수위가 점입가경입니다. 미국이 중국의 보복관세에 대응해 9일(현지시간)부터 중국에 대해 모두 104%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로이터 통신과 AFP통신 등이 8일 보도했네요.해당 관세는 9일 오전 0시 1분부터 적용됩니다. 지금 분위기로는 트럼프는 결코 물러설 태세는 아닙니다. 세계 금융 시장을 코너로 몰고 있는 트럼프의 진정한 숨은 의도는 무엇인지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에 숨은 의도적 경기 침체 전략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금리 인하와 환율 조정까지 엮인 정치·경제 시나리오 트럼프의 대표적인 경제정책 수단인 ‘관세 전쟁’은 단순한 보호무역주의가 아닙니다.그 이면에는 금리 인하 압박, 환율 조정, 나아가 정.. 2025. 4. 9. 트럼프가 관세 전쟁으로 바꾸려는 세계 질서 세계적 투자자이자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Bridgewater Associates) 창립자인 레이 달리오는 7일 "관세전쟁은 표면에 불과하며 지금 벌어지는 일은 훨씬 더 근본적인 세계 질서의 붕괴"라고 경고했습니다. 상호관세 전쟁을 포고해 세계 금융시장을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고 태연히 골프나 치러 가는 트럼프가 이해가 안 되실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분명 트럼프가 숨겨둔 의도가 있다고 확신합니다. 트럼프가 상호관세가 불러 올 후폭풍이나 부메랑 효과를 모를 리 없겠지요.그럼 그가 꿈꾸는 것은 무엇일까요? 레이 달리오는 왜 이 시점에 이런 얘기를 할까요? 오늘은 트럼프가 관세 전쟁으로 바꾸려는 세계 질서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레이 달리오가 말한 ‘세계 질서의 붕괴’.. 2025. 4. 8. 트럼프 상호 관세 폭탄의 부메랑 효과 저는 앞선 포스팅에서, 4월 2일 (현지 시간)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는 결국 미국에 부메랑이 되는 자충수가 될 것이라고 얘기했습니다. 중국이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네요. 먼저 10일 12시를 기해 미국산 제품에 대해 동일하게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동시에 미국의 상호관세를 무역규칙 위반으로 WTO에 제소했습니다. 즉각적인 반응으로 어쩌면 진짜 미중 무역 전쟁의 서곡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트럼프가 해방의 날이라고 선언했지만 세계 각국으로선 분노의 날, 보복의 날, 인플레이션 D-데이가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제가 말씀드린 대로, 왜 트럼프의 상호 관세가 미국에 부메랑이 되는지 실제 사례를 가지고 부메랑 효과에 대해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상호관세의 부메랑 효과 미국 기업이지만.. 2025. 4. 5. 트럼프 상호 관세: 자충수와 부메랑의 다른 이름 어제 새벽 발표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전 세계가 시끄럽고 주식과 코인 시장은 폭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트럼프의 상호관세란 다른 나라가 미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매기면 미국도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되돌려 주겠다는 개념입니다. 결국 이것은 미국에게도 부메랑이 되어 돌아갈 자충수가 될 것입니다. 국제무역의 관세 정책을 넘어 미국 자국 내 산업과 경제 체질의 변경을 위한 시도겠지만, 제 귀에는 공정이라는 이름의 불공정 보호 무역주의로 들립니다. FTA 협정국인 우리에게도 25% 관세를 매겼고,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한 현대차도 이 파고를 벗어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런 배경에 스티브 미란의 보고서가 트럼프의 이번 고관세 정책의 출발이라는 점에서 미란 보고서를 살펴보고 또 이번 트럼프의 상호 관.. 2025. 4. 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