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49 시진핑의 잠적과 권력 이상설, 중국 공산당 권력의 진짜 민낯 중국 최고지도자 시진핑(71)이 보름 가까이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감춘 뒤, 다시 나타난 모습이 예사롭지 않습니다.지난 6월 4일,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벨라루스 대통령 루카셴코와 회담을 가졌지만, 장소·형식·배석자 모두에서 권력 이상설을 더욱 부각시켰습니다. 이번 회담을 통해 본 현재의 중국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중난하이 회담 – 비공식 접견의 상징성보통 외국 정상 접견은 국빈관(댜오위타이)에서 열립니다.국빈관은 중국 공산당의 ‘권력 쇼’의 핵심 무대로, 정상적인 권력 구도가 유지될 때만 활용됩니다.그런데 이번에는 중난하이에서 회담이 열렸죠. 중난하이는 당·정 최고 권부가 밀집된 ‘비공식 공간’입니다.푸틴이나 마두로 등 중국과의 전략적 우방 정상들이 ‘비공식 회동’으로 찾는 곳으로 유명하죠.루.. 2025. 6. 8. 국민의힘 정당해산 가능할까? 최근 정치권에서 “국민의힘은 정당 해산 사유가 된다!”는 발언이 심심치 않게 들립니다.특히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후보 강제 교체 사건은 반민주 행위로 정당 해산 사유”라고 발언하면서, 국민의힘 지도부가 내란을 옹호·지원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는데요. 그렇다면 실제 헌법과 법적 기준, 그리고 헌재의 판례에 따르면 이 주장은 어떻게 평가될까요?오늘은 그 복잡한 쟁점을 하나씩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헌법과 정당 해산 – ‘민주적 기본질서’가 핵심먼저 헌법 제8조 4항과 정당법 제46조를 살펴보면, 정당 해산은 다음과 같이 규정돼 있습니다: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될 때, 정부는 헌재에 해산을 제소할 수 있고, 헌재의 심판으로 해산된다.” 여기서 핵심은 “민주적 기본질서”입니다.이는 자.. 2025. 6. 7. 한미 정상 첫 통화 : 이재명 대통령-트럼프 첫 통화의 의미 이재명 대통령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6월 6일 밤 첫 정상통화를 가졌습니다.“대선 승리 축하”로 시작된 이 통화는 관세·통상 협의부터 골프 라운딩(!)까지 다양한 주제로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의례적 축하전화로 보기에는 너무나도 많은 함의를 담고 있죠.오늘은 이 첫 통화의 의미와 앞으로의 과제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한미 정상 첫 통화, “동맹의 연속성”을 보여주다대통령 당선 이후 가장 먼저 하는 외교 이벤트 중 하나가 바로 한미 정상 통화입니다.한국과 미국은 70년 넘게 동맹 관계를 유지해 온, 뗄래야 뗄 수 없는 파트너이기 때문이죠.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승리를 축하한다”며 이재명 대통령을 방미 초청했습니다.두 정상은 “한미동맹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고.. 2025. 6. 7. 국무회의로 본 이재명 정부의 미래 - 행정가형 리더십 우리의 새로운 대통령, 이재명이 ‘일단 일부터 하자’는 기조로 국정운영을 시작했습니다.취임 직후부터 각 부처 실무자들을 소집해 마라톤 회의를 이어가며 현안을 직접 챙기는 모습이 눈길을 끌고 있죠. 정치적 이벤트나 조직 개편보다, “지금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정책부터!”라는 선언이 그의 리더십 스타일을 잘 보여줍니다.오늘은 첫 국무회의로 본 이재명 정부의 미래를 엿보고자 합니다. “일단 일부터!” –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직후 강행군취임 첫날인 6월 4일, 이재명 대통령은 비상경제점검 TF를 직접 주재하며 140분간 실무자들과 대화를 이어갔습니다.이어 5일에는 무려 3시간 40분에 이르는 ‘마라톤 국무회의’를 소화했죠.회의가 길어지자 국무회의장으로 김밥이 배달되었다는 뒷이야기도 화제가 됐습니다.바로 이 점.. 2025. 6. 6. 일본의 국가부채 위기와 ‘퍼거슨 한계’ – 일본 정부의 대응은? 최근 일본 정부의 국가 부채 문제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이슈 중 하나로 떠올랐습니다.일본의 국가 부채는 2025년 기준으로 1130조 엔(약 1경 740조 원)을 넘어 GDP 대비 240%를 돌파했습니다.이 수치는 세계 최악 수준으로, 선진국 중에서도 단연 압도적입니다. 그런데 이처럼 어마어마한 국가 부채가 일본의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흔들고 있습니다.특히 최근 일본에서는 ‘퍼거슨 한계(Ferguson limit)’라는 개념이 다시 조명되고 있습니다.일본의 재정위기와 이 개념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본의 부채 문제를 역사적 사례와 함께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일본의 부채 상황 – 과거 ‘제로 금리’ 시대의 결과일본은 1990년대 이후 수십 년 동안 초저금리 정책.. 2025. 6. 5. 백악관의 중국 개입 언급과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갈림길 6월 4일,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내각 인선을 발표한 날, 미국 백악관은 이례적으로 ‘중국의 선거 개입 우려’를 언급했습니다. 동맹국 한국의 대선 결과에 대해 축하 인사 대신 ‘중국 개입’이라는 발언을 내놓은 것은 전례 없는 일로, 외교가 안팎을 깜짝 놀라게 만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미국은 이런 ‘견제구’를 던진 걸까요?그리고 미·중 사이에 선 한국의 외교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오늘은 이례적 백악관 반응의 배경과 함께,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노선과 우리의 외교적 방향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백악관의 ‘중국 개입 우려’ 발언 – 단순한 축하를 넘어선 압박미국 백악관은 “한국이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치렀지만, 중국이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들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우려한다”고 밝혔습니다... 2025. 6. 4.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42 다음 728x90 반응형